top of page
Diabetes Self Management Program

​당뇨병

당뇨병이라는 용어는 혈당 수치를 기준으로 진단하는 관련된 대사증후군의 한 종류로서 혈당수치가 지속적으로 높게 유지되는 것을 말합니다. 혈당(포도당)은 우리몸의 주요 에너지원 중 하나입니다. 당뇨병을 앓고 있는 환자는 1형 당뇨병이든 2형 당뇨병이든 혈당수치를 정상범위 내로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되며 고지혈증(고중성지방혈증), 기타 대사 및 유기 장애를 동반한 만성적인 고혈당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종류의 혈당조절장애로는 혈당수치는 높지만 당뇨병으로 진단되기에는 충분하지 않은 당뇨전단계와 임신과 관련되어 출산 후 종료되는 임신성 당뇨병이 있습니다. 당뇨병의 임상적인 증상 중에는 과도한 갈증, 극심한 배고픔, 빈뇨, 체중 감소 및 증가, 쉽게 피로감을 느낌, 상처 회복속도가 느리고 빈번하게 세균에 감염되는 것을 포함합니다.

치료에는 경구 저혈당제 또는 인슐린 주사가 포함되며 최적의 당뇨병 관리를 목표로 환자는 이 질환에 대해 가능한 한 많이 알고 난 뒤 스스로 상태를 모니터링하면서 관리 하는 것이 좋습니다. 통곡물, 야채, 과일 및 콩류에서 탄수화물을 섭취하고 섬유질이 높고 혈당 부하가 낮은 음식으로 구성된 건강한 식단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야합니다. 또한 당뇨환자는 설탕이 첨가된 음료를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면에 당뇨병이 있는 성인은 주당 최소 150분(중강도 유산소 운동), 주당 3일 이상, 연속 2일 이상 운동을 거르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모든 당뇨환자는 앉아있는 시간을 하루 90분 이내로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DrKim_Profile_보정F_edited_edited.jpg

​김시찬 원장

Blood pressure reader

고혈압

고혈압은 팔의 동맥에서 혈압을 측정하여 지속적으로 높은 수치가 나오면 진단하며 수축기 혈압 140mmHg 이상 또는 이완기 혈압 85mmHg 이상으로 정의됩니다. 고혈압 환자의 거의 95%는 질병에 대한 명백한 원인이 없습니다. 이것을 본태성 고혈압이라고 하며 유전적인 요인과 관련이 있습니다. 그리고 과체중/비만, 짠 음식, 흡연 및 알코올과 같은 생활 습관 요인과 관련이 있습니다. 나머지 요인은 신장 질환, 내분비 질환 또는 약물과 같은 식별 가능한 원인으로 인해 고혈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이차성고혈압(속발성 고혈압)이라고합니다.

대부분의 환자는 혈압 상승과 관련된 증상이 없지만 가끔 환자에 따라(일반적으로 심한 고혈압 위주로) 발생하는 "고혈압성 두통" 증상이 있습니다. 다른 비특이적 증상으로는 심계항진(두근거림), 현기증 및 잦은 피로감이 있습니다. 장기간 지속되는 고혈압은 표적장기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협심증, 심근 경색, 심부전, 뇌졸중 또는 일과성 허혈 발작, 만성 신장 질환, 말초 동맥 질환 및 망막증 등과 같은 심각한 상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HTN 환자는 정상적인 혈압 수준에 도달하기 위해 약물이 필요하며 체중 감소, 알코올 섭취 제한 및 금연과 같은 생활 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좋습니다. 나트륨, 포화지방 및 콜레스테롤 섭취를 줄이는 것도 현명한 선택입니다. 또한 매일 최소 30분 이상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을 하도록 권고합니다. 고혈압을 진단 받은 환자도 정기적으로 follow-up(경과관찰)을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한혁준 선생님.png

​한혁준 전문의

Vasculature of the Heart

허혈성 심장질환

허혈성 심장질환(관상동맥질환)에는

협심증, 심장마비 등 갑작스런 심장사를 포함한 질병군이 포함되며, 관상동맥(산소화 된 혈액을 심장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혈관)이 손상됩니다. 이 상태의 주된 원인은 혈액 공급 방해로 이어지는 관상 동맥의 콜레스테롤 플라크와 관련이 있습니다.

허혈성 심장질환 환자는 어깨, 팔, 등, 목 또는 턱으로 퍼질 수있는 흉통을 호소합니다. 때때로 그러한 흉통은 속쓰림과 비슷하다고합니다. 또한 환자는 숨가쁨, 현기증 및 심계항진을 호소할 수도 있습니다. 대개 증상들은 신체 활동이나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습니다. 일부 합병증에는 심부전 또는 불규칙한 심장 박동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상태의 심각성과 발병에 따라 환자는 응급 처치(예: 심장 마비)가 필요하거나 경구 약물치료(예: 협심증)를 계속할 수 있습니다. 치료의 목표는 증상을 완화 및 향후 심장관련 사고를 예방하는 것입니다.

치료에는 금연, 기름진 음식과 짠 음식을 피하는 것과 같은 식생활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약리 요법에는 항 혈소판제, 질산염, 베타 차단제, 스타틴, 칼슘 채널 차단제가 포함됩니다. 어떤 경우에는 혈관 성형술 및 스텐트 시술 또는 관상 동맥 우회술과 같은 외과적 절차가 필요합니다.

DrKim_Profile_보정F_edited_edited.jpg

김시찬 원장

bottom of page